-
라쿠텐 포인트 2조 돌파 약22조원 규모일본의 캐시리스 2020. 9. 28. 08:38
"티클모아 태산"
어느 세월에 포인트를 모아서 사용 하냐?라고 생각하지만
2020.9.24 라쿠텐의 발표 자료를 보면 라쿠텐이 발행한 포인트가 2조를 돌파했다고 한다.
(1포인트=1엔이니 한국원으로 환산 하면 22조원 정도로 생각하면 됨)
라쿠텐 포인트는 2002년 라쿠텐이찌바(Amazon과 같은 인터넷쇼핑몰)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 였는데 2014년부터 라쿠텐 그룹 및 제휴 서비스로서 사용해왔다
또한 같은해 오프라인 가맹점에서도 사용가능하게 하기 위해 라쿠텐 포인트 카드를 발급하기 시작했고 2017년에 포인트 발급 1조 돌파후 3년만에 1조를 추가해 2조 돌파를 했다.
배경엔 라쿠텐카드 발급수 증가,라쿠텐페이(QR코드결제),라쿠텐Edy(전자머니)의 이용자 및 라쿠텐 포인트 이용가능한 제휴가맹점 증가를 꼽을 수 있다.
특히 작년 일본 정부의 캐시리스 정책을 등에 업고 한 해 3200억 포인트를 발급했다
라쿠텐 포인트는 라쿠텐 경제권을 형성하는 큰 자산이 된 셈이다.
더불어 라쿠텐 증권에서는 라쿠텐 포인트로 소액투자가 가능하며,라쿠텐 손해보험에서는 라쿠텐 포인트로 보험료 지불도 가능하다.
이정도 되면 일본 국내에서는 현금에 준하는 정책을 펼 수 있으니 광고를 많이 하지 않더라도 포인트 프로그램으로 고객들의 유치할 수 있으며 이용 데이터를 재활용할 수 있을 듯 하다.
일본의 포인트 시장에서는 T포인트가 압도적 1위를 차지하는 시대가 있었는데 온오프라인의 경제권을 장악한 라쿠텐의 승리가 예상된다.
라쿠텐 포인트 2조 돌파까지 발자취 추가 참조사이트:라쿠텐 페이먼트전략
2020.5 교통카드 스이카(Suica)와 손 잡은 라쿠텐의 페이먼트 전략
작년 한 해 일본 에서는 모바일 간편결제 시장의 세력 싸움이 한 창이었다. 소리 없는 결제 전쟁에서 Myway를 고집했던 라쿠텐 재팬의 자회사 라쿠텐 페이가 드디어 교통카드인 스이카(Suica)와 손�
nerimaman.tistory.com
'일본의 캐시리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0년 일본 온라인 PG 시장규모 약3.6조원 (0) 2020.06.22 2020년,복잡한 일본의 전자머니 시장 총정리 (0) 2020.06.15 <JPQR>일본 통일 QR규격,"현금 없는 사회"를 만들 수 있을까 (0) 2020.06.13 KDDI 포인트사업자Ponta와 손 잡고 1억이상의 고객 데이터 확보 (0) 2020.06.12 <NTT도코모> 간편결제 시장에서의 성공전략? (0) 2020.06.11